4계층
포트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오류 제어(신뢰성 유무), 특정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통신(웹 브라우저 and 웹 서버)
포트 주소
2바이트, 0~65535까지 사용가능
- System Port(Well-Known Port)0 ~ 1023, 잘 알려진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트 FTP 20, 21 SSH 22 TELNET 23 SMTP 25 DNS 53 DHCP 67,68 TFTP 69 HTTP 80 HTTPS 443
- User Port(Registered Port)1024 ~ 49151, 어느정도 주요한 서비스들이 등록되어 있는 포트 MS의 원격 데스크탑 3389 DB 서버(mysql) 3306
- Private Port(Dynamic port)49152 ~ 65535,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포트tip : 프로세스=실행된 프로그램 tip : 포트 스캔
4계층 프로토콜
TCP : 연결 지향형, 신뢰성 있는 통신 가능, 비연결 지향형에 비해서 속도가 떨어진다. UDP : 비연결 지향형, 연결 지향형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신뢰성이 떨어진다.
실습 1 - 현재 연결 상태 확인하기
시작 메뉴 -> cmd 검색 -> cmd 실행
cmd에서 netstat -ano 명령어로 확인
실습 2 - 특정 서비스의 포트번호 확인하기
웹 서비스와 같은 유명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때 TCP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의 포트번호 확인하기
반응형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연결지향형 TCP 프로토콜 (0) | 2021.07.30 |
---|---|
08. 비연결지향형 UDP 프로토콜 (0) | 2021.07.30 |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1.07.30 |
05.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0) | 2021.07.30 |
0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