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

04. 문서 편집기(vi, nano)

문서 편집기 vi 편집기 vi 편집기의 모드 Command 모드 가장 기본이 되는 모드 단축키를 사용하여 복사, 붙여넣기, 다른 모드로 전환, 커서 이동, 삭제 등의 작업을 하는 모드방향키 G : 가장 마지막 줄로 이동 gg : 첫번째 줄로 이동 [n]G : n번째 줄로 이동 $ :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끝으로 이동 0 :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앞으로 이동 w : 커서가 한 단어씩 오른쪽으로 이동 b : 커서가 한 단어씩 왼쪽으로 이동(2) 삭제x : 한 문자 삭제, 또는 Edit모드에서 백스페이스나 Delete키로 삭제 dd : 커서가 위치한 한 줄을 삭제 d[커서 이동] : 커서 이동하는 만큼 삭제(3) 수정r : 커서가 위치한 부분의 문자 하나를 입력하는 문자로 대체 u : Ctrl + z처럼 ..

리눅스 기초 2021.08.17

03. 파일 관련 명령어

파일 관련 명령어 파일 내용 확인 cat [파일] 파일 내용 전체 출력 more [파일] 파일 내용을 화면에 맞게 출력 head [파일] 파일 내용 중에서 위에서 몇 줄 출력(줄 수는 입력한 값대로, 기본값은 10) tail [파일] 파일 내용 중에서 밑에서 몇 줄 출력(줄 수는 입력한 값대로, 기본값은 10) -f : 파일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조회 디렉토리 및 파일 공통 명령어 복사 cp [옵션] [원본] [사본]옵션-i : 복사 후 붙여넣기 할 때 똑같은 파일이 존재할 경우 덮어쓸지 물어본다. 파일 복사 : cp [원본] [사본] 디렉토리 복사 : cp -r [원본] [사본] 이동 mv [옵션] [대상] [목적지] 이름 변경 mv [옵션] [대상] [바꿀 이름] 생성 파일 생성 : touch..

리눅스 기초 2021.08.17

02.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디렉토리 내용을 확인 또는 변경하는 등 디렉토리와 관련된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 학습 현재 작업 디렉토리 명령어 pwd 디렉토리 이동하는 명령어 cd [이동할 경로] 디렉토리 내용 확인 ls [옵션] [위치 또는 파일] 디렉토리 내에 어떤 디렉토리와 파일이 있는 해당 목록을 출력-l : 출력 결과를 좀 더 자세하게 출력 drwxr-xr-x. 2 sjb sjb 6 9월 28 19:26 바탕화면 [1] [2] [3] [4] [5] [6] [7] [1] : 해당 파일의 종류와 권한, 총 10개의 문자, 첫번째문자는 파일의 종류, 2~10문자는 권한 d(디렉토리), -(파일) [2] : 하드 링크 수 [3] : 해당 파일의 소유자 [4] : 해당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 그룹 [..

리눅스 기초 2021.08.03

01.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의 역사 유닉스의 탄생 1960년대 중반부터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틱스라는 프로젝트로 시작 멀틱스는 다중 사용자, 다중 프로세서, 다중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를 만드는 프로젝트였지만 실패로 끝남 AT&T에서 멀틱스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켄 톰슨이 사무실에 있던 PC에 멀틱스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게임인 스페이스 트레블을 구현 나중에 켄 톰슨의 동료인 데니스 리치가 기존의 어셈블리어로 되어있던 코드를 C언어로 변경 다양한 작업을 한번에 수행하려다 실패한 멀틱스와 달리 한 가지 작업이라도 제대로 수행한다는 의미로 유닉스를 개발 리눅스의 탄생 헬싱키 대학교에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라는 학생(21살)이 학교 수업에서 사용하던 MINIX라는 운영체제를 사용하..

리눅스 기초 2021.08.03

11. www(웹)를 이용할 때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7계층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담당,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웹 서비스가 있고 나머지 중요한 서비스로는 DNS, FTP, TELNET, SSH 등이 있다. 웹을 이루는 다양한 기술들 HTML CSS JavaScript (웹 표준, Client Side Script) ASP, JSP, PHP(Server Side Script, Server Program) 웹 서버(아파치, 톰캣, nginx) HTTP 7계층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 HTTP 요청 프로토콜 헤더(리퀘스트 라인)[요청 메소드] [공백] [요청 URI] [공백] HTTP/1.1 ex) GET / HTTP/1.1 요청 메소드 GET :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 바디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를 전달할 때 URI에 포함 POST : 데이..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10. NAT와 포트 포워딩

NAT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란 IP 패킷의 출발지, 목적지 IP 주소와 TCP 또는 UDP의 포트 번호를 재기록하면서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기술 공유기는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대의 PC들에게는 사설 IP를 할당하고 해당 PC가 통신하려고 할 때 공인 IP로 변경해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NAT 테이블 특정 출발지 IP와 특정 목적지 IP를 가진 네트워크 패킷이 NAT를 통해 변환되게 되면 NAT 테이블에 기록하고 해당 패킷이 다시 돌아왔을 때 기록해둔 내용을 보고 원래의 출발지 경로로 패킷을 보내준다. 포트 포워딩 일반적으로 사설 IP를 사용하는 PC는 N..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09. 연결지향형 TCP 프로토콜

TCP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신뢰성 있는 통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계속해서 물어보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신뢰성을 보장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을 동기화 TCP 프로토콜 구조 출발지 포트 목적지 포트 Seq 번호 : TCP 패킷의 순서 번호 Ack 번호 : Seq 번호에 대한 응답 번호 오프셋 : 헤더의 길이, IP 헤더의 길이와 성격이 비슷, 최대 15, Offset * 4 = 실제 헤더의 크기 Reserved : 예약된 필드로써 사용하지 않는 곳 TCP Flags : 현재 패킷의 종류를 표시 URG : 긴급 bit,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 ACK : 승인 bit, 승인의 뜻을 포함한 패킷 PSH : 밀어넣기 bit, TCP Buffer가 일정한 크기만큼 쌓여야 패킷을 추가 ..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08. 비연결지향형 UDP 프로토콜

UDP 프로토콜 비연결 지향형, 연결 지향형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신뢰성이 떨어진다. UDP 프로토콜의 구조 출발지 포트 : UDP 프로토콜을 만드는 송신자의 포트번호 목적지 포트 : UDP 프로토콜을 받는 수신자의 포트번호 길이 : UDP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 체크썸 : 데이터가 전송 중에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값 실습 1 - TFTPD64 프로그램을 이용한 UDP 패킷 분석하기 -서버- Server Interface 설정 tftpd.exe가 있는 곳에 abc.txt 생성 -클라이언트- tftp client 탭 선택 Host [서버의 IP] Port 69 Local File [내 PC의 저장 위치] Remote File [서버가 공유한 파일 이름] Get ..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07. 컴퓨터의 프로그램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4계층 포트주소를 이용해서 통신, 오류 제어(신뢰성 유무), 특정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통신(웹 브라우저 and 웹 서버) 포트 주소 2바이트, 0~65535까지 사용가능 System Port(Well-Known Port)0 ~ 1023, 잘 알려진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트 FTP 20, 21 SSH 22 TELNET 23 SMTP 25 DNS 53 DHCP 67,68 TFTP 69 HTTP 80 HTTPS 443 User Port(Registered Port)1024 ~ 49151, 어느정도 주요한 서비스들이 등록되어 있는 포트 MS의 원격 데스크탑 3389 DB 서버(mysql) 3306 Private Port(Dynamic port)49152 ~ 65535,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포트tip : 프..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0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IPv4 프로토콜 20바이트, 네트워크 대역을 찾아가는 프로토콜 IPv4 프로토콜 구조 Version : IP프로토콜의 버전, 일반적으로 4만 온다. IPv6 프로토콜은 따로 있다. IHL : IP Header Length, 일반적으로 옵션을 제외한 20바이트, 이를 4로 나눠서 표기 Total Length : 페이로드까지 합친 크기 Identification : 조각화가 발생했을 때 각각의 조각들이 원래 하나의 데이터였다는 것을 구분하기위한 ID 값(OS에서 랜덤 생성) IP Flags : 조각화가 발생했는지 아닌지, 조각화를 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 결정하는 값 x:예약 필드, D: Don't 조각화 하지 않겠다 선언, m : more 조각화 발생함을 나타냄 Fragment Offset : 조각화..

네트워크 기초 2021.07.30
반응형